Big-O Notation1 [Algorithms] 시간복잡도 (Big-O Notation) 란? ✨ 시간복잡도 알고리즘의 로직을 코드로 구현할 때, 입력값에 따라 출력값을 내는데 걸리는 시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시간 복잡도는 보통 Big-O Notation (Big-O 표기법) 을 활용하여 나타낸다. Big-O Notation 이외에도 Big-Omega(big-Ω),Big-Theta(big-Θ) Notation 등이 존재한다. Big-Omega는 알고리즘 효율을 하한선을 기준으로 하고, Big-Theta는 상한선과 하한선의 사이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이에 비해 Big-O 는 알고리즘 효율을 상한선 기준으로 표기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 즉,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최대값을 표기하기 때문에 효율성 점검에 자주 사용된다. 시간 복잡도와 아울러 공간 복잡도 (Space Complexity).. 2021. 7.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