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2

[Network] 라우터 (Router) 의 동작 방식 라우터는 와이파이를 설치하거나 신호를 잡을 때 등, 일상에서도 흔히 사용되는 용어라 낯설지 않은 감이 있다. 하지만 라우터가 무엇인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려면 네트워크의 개념과 원리를 잘 알아두어야 한다. ✨ 라우터 라우터는 OSI 7 계층의 3계층 (Network Layer) 에서 동작하는 장비이다. 주요 역할은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주소의 경로를 지정해주는 것이다. 라우터마다 여러 경로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들어오는 패킷이 어떻게 하면 최적의 경로로 목적지까지 도달할지 파악하여 포워딩한다. 이를 위해 라우터는 다양한 경로 정보를 수집하며,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 A 에서 호스트 B 까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한다고 하면, A 와 B .. 2021. 10. 4.
[Network] 스위치의 동작 방식 ✨ 스위치 네트워크의 핵심장비 중 하나인 스위치는 OSI 2계층 (Data Link Layer) 의 장치로, MAC 주소 기반으로 동작한다. 📍 주요 역할 스위치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 동시에 여러 단말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함 - 패킷 간의 충돌 문제 방지 - 다른 패킷의 전달이 끝날때까지 대기하는 문제 해결 즉, 스위치는 패킷의 데이터를 캡슐화 또는 디캡슐화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여 원활한 네트워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 OSI 2계층간 전달되는 데이터 유닛은 프레임이다. 3계층 (Network Layer) 에서 각 세그먼트에 IP 주소를 달아 2계층으로 넘겨주는데, 2계층에서는 각 세그먼트에 출발지 / 목적지 MAC 주소 헤더를 추가해 '프레임'을 구.. 2021. 9. 27.